![[10] PCIe - Physical Layer (LTSSM) - 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0lNb%2FbtsIbrUR2RL%2FBl0UjDRA4xgME4zk5JmwcK%2Fimg.png)
이 글은 제가 PCIe를 공부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PCIe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라잡이가 되었으면 합니다. LTSSM은 아주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모든 내용을 담기보다는 각각의 state가 가진 핵심 동작 위주로 설명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PCIe Specification을 참고해주세요. 이전 글) [9] PCIe - Physical Layer (LTSSM) - 1 returnclass.tistory.com Detect State Detect state의 목표는 state의 이름과 같이 link partner를 감지하는 과정입니다. Detect.Quiet일종의 reset과 같은 동작입니다. linkup, link training bit등..
![[9] PCIe - Physical Layer (LTSSM) - 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cDFdw%2FbtsHF1vNnY2%2FGCkYZsV8aTct95PD7ygQm1%2Fimg.png)
이 글은 제가 PCIe를 공부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PCIe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라잡이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전 글) [8] PCIe - Physical Layer (PCIe Gen3 ~) returnclass.tistory.com PCIe LTSSM(Link Training and Status State Machine)은 hardware기반으로 수행되며, physical layer가 이를 제어합니다. 이 과정은 reset 후 hardware에 의해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LTSSM은 여러 상태를 통해 link를 설정하고 packet traffic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Link Traning Link Traning은 PCIe와 같은 고속 직렬..